
변경사항을 commit 하지 않아 branch switch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Please commit your changes or stash them before you switch branchs' swtich하기전에 commit을 하던가 stash를 하라고 한다. 하지만 위의 변경 사항들은 팀원들의 잘못된 푸쉬로 github 저장소에 불필요한 파일들이 올라가 의도치 않게 나의 local의 프로젝트 설정 파일이 github의 파일과 충돌을 일으키는 변경 사항이다. 최신 버전을 가지고 있는 팀원에게 해결방법을 제시해주고 부탁드렸고 아직 해결되지는 않았다. 사실 다 날리고 다시 클론 하거나 내가 강제로 push하면 되긴 할텐데 그렇게 하지 않고 stash를 이용해보기로 했다. git stash, g..

Git Clone vscode를 켜고 Clone Repository를 누른다. 위와 같이 주소를 입력하는 창이 뜬다. clone하고싶은 Github주소를 가져온다. 저는 이전 포스트의 git_prac repo의 주소를가져왔습니다. 주소를 입력하면 local 저장소로 사용할 디렉토리를 지정해줍니다. vscode에서 clone이 로딩되고 아래와 같이 안내가 뜨면 Open 아래와 같이 git_clone_prac/git_prac(remote repo이름 디렉토리가 생성됨) 경로에 github에 올려놓았던 text.txt를 local로 가져왔다. terminal을 켜보면 github에서 가져온 git_prac을 현재 경로로 설정되서 켜졌다. 경로가 다르다면 remote repo에서 가져온 디렉토리로 이동해주자. ..

Local 저장소 만들기 내 컴퓨터에 local 저장소로 사용할 directory를 만들어서 vscode 에서 열어준다. Github에 올릴 파일 만들기 테스트로 올릴 파일 하나를 만든다. Initialize Repository 왼쪽 사이드바에 SOURCE CONTROL로 들어가 Initialize Repository를 해준다. 터미널에서 git init command과 기능이 동일하다. Initialize Repository를 하면 아래와 같이 주소창이 뜨는데 현재 열린 workspace의 주소가 뜬다. 그 주소로 설정해주면 된다. 이렇게 github으로 보낼 local 저장소가 세팅 되었고 사이드바는 밑 사진과 같은 창으로 바뀐다. Message칸에 v1(version 1)을 넣고 Commit 버튼을..
- Total
- Today
- Yesterday
- css기초
- github
- JWT기본원리
- @
- JavaScript
- 영어 Frontend Article 읽고 요약하기 #6
- 링크이동
- AWS 가입하기
- aws
- EC2 is why EC2?
- GitClone
- Arrays
- 무한스크롤
- 네트워크
- ssh접속오류
- HTML
- stash
- vscode
- CSMA/CD
- hub
- 데코레이터
- 소셜로그인
- Decorator
- google font
- git stash
- localStorage
- 개발블로그 만들기
- sessionStorage
- cookie
- 카카오로그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