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Clone vscode를 켜고 Clone Repository를 누른다. 위와 같이 주소를 입력하는 창이 뜬다. clone하고싶은 Github주소를 가져온다. 저는 이전 포스트의 git_prac repo의 주소를가져왔습니다. 주소를 입력하면 local 저장소로 사용할 디렉토리를 지정해줍니다. vscode에서 clone이 로딩되고 아래와 같이 안내가 뜨면 Open 아래와 같이 git_clone_prac/git_prac(remote repo이름 디렉토리가 생성됨) 경로에 github에 올려놓았던 text.txt를 local로 가져왔다. terminal을 켜보면 github에서 가져온 git_prac을 현재 경로로 설정되서 켜졌다. 경로가 다르다면 remote repo에서 가져온 디렉토리로 이동해주자. ..
IT Technical Note/Git | Github
2022. 10. 20. 15:14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Arrays
- JWT기본원리
- 무한스크롤
- 링크이동
- 네트워크
- aws
- git stash
- 개발블로그 만들기
- 데코레이터
- stash
- @
- Decorator
- localStorage
- 카카오로그인
- css기초
- CSMA/CD
- JavaScript
- EC2 is why EC2?
- 영어 Frontend Article 읽고 요약하기 #6
- cookie
- vscode
- GitClone
- AWS 가입하기
- 소셜로그인
- sessionStorage
- github
- HTML
- hub
- google font
- ssh접속오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